“대한민국이 젊어진다”...‘만 나이 통일’ 민법 및 행정기본법 개정안, 국회 통과

현예린 기자 / 기사승인 : 2022-12-09 12:35:06
  • -
  • +
  • 인쇄
나이 해석과 관련된 불필요한 법적 다툼, 사라져

[공감뉴스=현예린 기자] 매년 1월 1일이면 모든 국민이 똑같이 한 살을 더 먹는 ‘세는 나이’(한국식 나이 계산법) 문화가 앞으로는 변화될 전망이다. 9일 ‘만 나이 통일’을 위한 민법 일부개정법률안과 행정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이상 유상범 의원 대표발의)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사진=법무부

 

‘만 나이 통일’ 개정안이 시행되면 별도의 특별한 규정이 없는 경우 법령ㆍ계약에서 표시된 나이는 만 나이로 해석하는 원칙이 확립, 나이 해석과 관련된 불필요한 법적 다툼과 민원이 사라질 예정이다.

 

‘만 나이 통일’은 세는 나이, 연 나이, 만 나이 등 여러 가지 나이 계산법의 혼용으로 발생하는 사회적ㆍ행정적 혼선과 분쟁을 해소하기 위해 윤석열 정부에서 국정과제로 추진해 온 역점 사업이다.

 

법제처가 지난 9월 국민신문고 ‘국민생각함’을 통해 실시한 국민의견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1.6%가 ‘만 나이 통일’을 담은 민법 및 행정기본법 개정안의 처리가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의 86.2%는 일상생활에서도 만 나이를 사용하겠다고 응답하는 등‘만 나이 통일’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매우 높다.

 

한동훈 법무부장관은 “통일성 있는 기준을 정착시켜 국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약속했던 내용이 정부 출범 6개월 여 만에 실행되게 됐다”며 “법안 시행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가 배가될 수 있도록 후속 조치에도 만전을 기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완규 법제처장은“국민들의 체감 나이가 한두 살씩 어려지면 사회적으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법안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만 나이 사용 문화가 빠르게 정착될 수 있도록 관련 부처와 긴밀하게 협력해 대국민 홍보를 실시하겠다”고 강조했다.

 

법제처는 내년 연 나이를 규정하고 있는 개별 법령을 만 나이로 개정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용역과 국민 의견수렴을 거친 후 소관 부처와 협의해 개별 법령의 정비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더(The)공감뉴스 현예린 기자(hyseong123@nate.com)

[저작권자ⓒ 더(The)공감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