企業 2곳 중 1곳, 각국의 경제안보 움직임으로 실적 악화

현예린 기자 / 기사승인 : 2022-11-07 14:14:43
  • -
  • +
  • 인쇄
국내 경제안보 인식 수준 선진국 대비 낮아, 전반적인 대처도 부족
경제안보 강화 시, 불안정한 금융 환경, 공급망 관리 우려
가장 긴밀히 협력할 국가는 미국, 중국은 협력과 경계 모두 필요

[공감뉴스=현예린 기자] 첨단산업과 기술 보호, 수출입·투자 규제, 핵심 자원·소재 공급망 관리 등 전 세계적인 경제안보 움직임 강화가 국내 기업의 실적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전경련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상위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한 주요 기업 경제안보 인식 및 영향조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조사 대상 기업의 50.0%는 최근 글로벌 경제안보 강화 움직임이 매출액, 영업이익 등 회사의 경영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응답했다. 실적에 영향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44.0%로 조사됐으며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기업은 6.0%에 그쳤다.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와 자국 우선주의 등의 움직임이 단기적으로 기업 실적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응답 기업의 49.4%는 경제안보의 중요성에 대한 우리나라의 인식 수준이 주요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비슷한 수준이라고 판단하는 기업은 43.9%, 다소 높은 수준이라고 응답은 6.7%로 나타났다. 

 

또한 세계 각국의 경제안보 움직임에 대한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대처는 선진국 대비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기업의 52.7%가 부족하다고 느꼈으며 44.6%가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기업들은 전 세계적 경제안보 움직임이 강화될 경우 ‘외환·자본 시장 등 금융환경 불안정성 확대(40.7%)를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수출규제 등 공급망 악화(21.0%)’, ‘보호무역주의 확산(11.9%)’에 대한 우려가 뒤를 이었다. 

 

전경련은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정성 확대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미·중 갈등, 글로벌 공급망 악화 등 경제안보 문제가 지목되고 있다면서 국가별 첨단산업 보호, 수출입·투자 규제 강화 등 움직임이 강화될 경우, 금융시장의 불안이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금융환경 악화는 규모·업종 등 기업의 특성과 관계없이 기업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응답기업의 상당수가 금융환경 불안 확대를 우려하는 것으로 전경련은 분석했다.

 

경제안보 시대를 잘 헤쳐나가기 위해 우리나라가 긴밀히 협력해야 할 국가에 대해 1순위로 미국을 꼽은 기업이 86.6%에 달했다. 중국을 1순위로 지목한 기업은 10.7%로 나타났다. 

 

경제안보 이슈가 기업의 자유로운 경영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현 국제 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기업의 34.0%가 경제안보 국면이 4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당분간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경제안보는 당분간 변하기 힘든 뉴노멀”이라고 전제하면서 “각국의 산업 보호 정책으로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 기업들은 단기적으로 적응 비용을 치를 가능성이 높다”며 “경제안보 시대에도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환·자본시장 등 금융 환경 안정과 지속적인 공급망 확보 지원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더(The)공감뉴스 현예린 기자(hyseong123@nate.com)

[저작권자ⓒ 더(The)공감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